본문 바로가기

IT/Web

【web기본】2021 10 27 : Servlet & JSP

웹에서 사용되는 자바 언어

=> 기본 자바 문법은 그대로 사용됨...

 

JSP : 전체가 HTML 형태로 구성되고, 자바문법은 내부

 

Servlet : 웹서버가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는 자바 코드

 

자바 웹 프로젝트 구동 시, 실행되는 순서...

1. Tomcat 서버 구동

2. 웹 프로젝트가 서버 위에서 구동 시작..

2-1. 해당 웹 프로젝트 폴더 존재 확인

2-2. 존재 : 웹 프로젝트 => WEB-INF => web.xml 읽기

2-3. 오류가 없을 경우, 요청한 페이지(html / jsp) 존재 여부 확인

2-4. 존재 :

html : 해당 파일 내용을 요청한 웹 브라우저에게 전송.(응답 : response)

jsp : jsp => java 변환 => class 로 컴파일 => 초기화 => 내부 실행 결과 데이터를 요청한 웹 브라우저에게 전송 맨 처음 요청이 이루어졌을 경우....

 

두 번째 요청부터는 초기화 => 내부 실행 결과 데이터를 요청한 웹 브라우저에게 전송

 

단, jsp을 수정했을 경우엔

jsp => java 변환 => class 로 컴파일 => 초기화 => 내부 실행 결과 데이터를 요청한 웹 브라우저에게 전송


요청에 대한 응답

404 : 요청한 파일을 찾지 못했을 경우 / web.xml 문서 내부에 오류

500 : 요청한 파일 내부에 오류 발생 ( java => class) 

 


today.jsp

사용자 : 웹 브라우저 => 웹 주소줄 : http://localhost:9000/day_3_jsp/today.jsp 요청(request)

톰캣 서버는 요청 내용을 처리하기 위하여

톰캣 서버 주소 : localhost:9000

프로젝트 명(폴더) : day_3_jsp

WebContent 폴더 : today.jsp => today_jsp.java => today_jsp.class => 초기화 => 실행 => 실행결과 => 웹 브라우저 응답 (response) \

response code : 404 500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