Q..출력을 위해 사용하는 함수는 p****()입니다. 출력을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무엇일까요?
원하는 자료를 컴퓨터 화면에 나타내는 것을 출력이라고 합니다.
A. print
자료의 종류는 무궁무진!
Python에 있는 대표적인 자료형으로는 숫자형 자료와 문자형 자료, 그리고 리스트형 자료가 있습니다.
- 숫자 자료형은 우리가 알고있는 1, 2, 3 등의 정수와 3.14 등의 실수를 포함한 자료형입니다.
- 문자 자료형은 'a', "abc"와 같이 한 문자나 단어, 문장을 '' 혹은 ""로 묶어준 자료형입니다.
- 리스트 자료형는 위의 숫자형, 문자열 등의 여러 자료형을 한번에 담는 자료형입니다.
123 # 숫자
"I love Python" # 문자
[1, 2, 3] # 리스트
Copy
자료형은 저마다 연산하는 방식을 가지고 있는데, 그중에서 +(더하기) 기호가 자료형마다 어떻게 적용되는지 확인해봅시다.
이렇게 해보세요!
- 1, 4, 7번째 줄의 미션을 확인하고, 이를 수행해보세요.
- 실행 버튼을 눌러서 주어진 임무를 잘 수행했는지 확인하세요.
- 제출 버튼을 눌러 맞게 코드를 작성했는지 확인해보세요!
상단 보조자료에서 실습 해설 강의를 들을 수 있으니, 학습에 참고해보세요.
#숫자 50과 숫자 50을 더해서 출력해봅시다!
print(50 + 50)
#문자열 "50"과 문자열 "50"을 더해서 출력해봅시다!
print("50" + "50")
#리스트 [50]과 리스트 [50]을 더해서 출력해봅시다!
print([50]+[50])
변수의 사용 방법
변수는 자료를 담는 그릇입니다.
변수를 직접 사용해봅시다.
변수에는
- 숫자
- 문자
- 문자들의 집합
- 자료를 여러개 담는 리스트
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.
오른쪽 실습을 통해서 같이 해보도록 해요.
이렇게 해보세요!
- 1-11번째 줄에 적혀있는 코드를 확인해보세요. num1, num2, character, string, threeList 라는 변수에 값이 저장되어있어요.
- 13, 16번째 줄의 미션을 위의 변수 할당법을 참고해서 직접 작성해봅시다. 직접 만든 변수에 미리 만들어 둔 변수를 사용하여 값을 넣을 수도 있어요!
my_var1 = 'a' my_var2 = string
- my_var1 = 'a' my_var2 = string Copy
- 실행 버튼을 눌러서 주어진 임무를 잘 수행했는지 확인하세요.
상단 보조자료에서 실습 해설 강의를 들을 수 있으니, 학습에 참고해보세요.
# 변수에는 정수, 실수같은 숫자를 저장할 수 있고,
num1 = 1
num2 = 2
# 영어나 한글같은 문자도 저장할 수 있어요.
character = 'a'
# 이런 문자들의 집합도 저장할 수 있고,
string = 'Python'
# 자료들을 여러 개 담을 수 있는 리스트 또한 저장할 수 있어요.
threeList = [1, 'a', 'Python']
# 여러분의 변수를 만들어 봅시다. my_var라는 이름의 변수를 만들고, 원하는 값을 넣어보세요!
my_var = 'myString'
# 변수는 print()에 넣을 수도 있어요! my_var를 print로 출력해서 값이 잘 들어갔는지 확인해봅시다!
print(my_var)
# 변수끼리는 연산 또한 가능합니다. 예를들어, 위에 있는 num1, num2을 더하면?!
print(num1+num2)
자료형끼리의 간단한 형변환
파이썬은 자료형끼리의 변환을 아주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. 우선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문자열이 정수나 실수로만 이루어져 있어야합니다.
자료형을의 형변환을 수행하는 함수로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미션을 수행해봅시다.
int() #정수형으로 변환
float() #실수형으로 변환
str() #문자형으로 변환
list() # 리스트로 변환
tuple() # 튜플로 변환
Copy
이렇게 해보세요!
- 1-8번째 줄에 적혀있는 코드를 확인해보세요. a, b 변수에 문자열로 된 정수와 지수가 저장되어 있어요.
- 10번째 줄의 미션을 위의 함수를 사용하여 자료형의 형변환을 수행하는 코드를 직접 작성하세요.
c = int(a) # 정수 d = float(b) # 실수
- c = int(a) # 정수 d = float(b) # 실수 Copy
- 실행 버튼을 눌러서 주어진 임무를 잘 수행했는지 확인하세요.
- 제출 버튼을 눌러서 올바르게 코드를 짰는지 확인해 봅시다.
Tip!
type() 함수는 괄호 내 자료의 타입(자료형)을 반환합니다.
상단 보조자료에서 실습 해설 강의를 들을 수 있으니, 학습에 참고해보세요.
# 변수에 문자열로 된 정수와 실수를 저장하면,
a = '345'
b = '1.567'
# 출력 시 숫자로 보이지만 문자열이에요!
print(a, b)
print(type(a))
print(type(b))
# a, b 변수의 값을 알맞은 함수를 활용하여 숫자형으로 변경하고 변수 c, d에 저장하세요.
c = 2021 # 정수
d = 3.14 # 실수
# print()를 통해 c, d의 값과 자료형을 확인해봅시다!
print(c, d)
print(type(c))
print(type(d))
반응형
'IT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【데이터 분석을 위한 라이브러리】01 파이썬의 여러가지 모듈과 패키지 (0) | 2021.12.17 |
---|---|
05 같은 듯 다른 함수와 메서드 (0) | 2021.12.17 |
04 파이썬에서 자료를 담는 여러가지 방식 (0) | 2021.12.17 |
03 반복되는 명령을 줄여주는 반복문 (0) | 2021.12.17 |
02 특정 조건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는 조건문 (0) | 2021.12.17 |